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programmers
- DP
- dfs
- 딕셔너리
- level0
- 그리디
- 구현
- 코딩테스트
- 파이썬
- python
- BOJ
- MYSQL
- 프로그래머스
- 수학
- 가상메모리 관리
- 힙
- 에라스토테네스의 체
- 가상메모리
- 운영체제
- 브루트포스
- 재귀
- level1
- 다익스트라
- BFS
- 백준
- 스택
- level2
- level3
- N과M
Archives
- Today
- Total
동캄의 코딩도장
백준 1377 [버블 소트] 파이썬 본문
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377
1377번: 버블 소트
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. N은 50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A[1]부터 A[N]까지 하나씩 주어진다. A에 들어있는 수는 1,00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.
www.acmicpc.net
# 백준 1377 버블 소트
import sys
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
input = sys.stdin.readline
N = int(input())
lst = {}
lst_sorted = []
lst_val = []
answer = -1
diffs = defaultdict(lambda: 1000001)
for i in range(N):
K = int(input())
lst[K] = i
lst_sorted.append(K)
lst_sorted.sort()
for i in range(N):
diff = min(abs(lst[lst_sorted[i]]-i), N-i-1)
diffs[lst_sorted[i]] = min(diffs[lst_sorted[i]], diff)
for diff in diffs.values():
answer = max(answer, diff)
print(answer+1)
먼저 lst에 각 원소의 index값을 저장한다. (정렬 전 index)
그리고 lst_sorted에는 정렬 한 값을 저장한다.
중복된 값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, diffs 딕셔너리를 생성한다.
문제에서 반복문을 도는 조건은 k번째 수가 k+1 번째 수보다 클때 (정렬이 완전히 되지 않았을 때)이므로,
diff= min ( | 정렬된 자신의 index- 정렬되지 않았을 때 index | , 자기 자신이 알맞게 정렬됐을 순서) 이다.
즉, diff는 자신 앞에 있는 인덱스의 수가 뒤로가서 정렬 되거나, 자기가 뒤로가서 정렬되는 경우의 수를 따져서 더 작은 값을 저장한다.
반응형
'코테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9019 [DSLR] 파이썬 (0) | 2022.04.18 |
---|---|
백준 16236 [아기 상어] 파이썬 (0) | 2022.04.17 |
백준 13549 [숨바꼭질3] 파이썬 (0) | 2022.04.16 |
백준 2096 [내려가기] 파이썬 (0) | 2022.04.16 |
백준 15686 [치킨배달] 파이썬 (0) | 2022.04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