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level2
- 딕셔너리
- 가상메모리
- level1
- programmers
- python
- 에라스토테네스의 체
- N과M
- 백준
- 운영체제
- 재귀
- 수학
- level3
- 다익스트라
- BOJ
- 그리디
- MYSQL
- 가상메모리 관리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프로그래머스
- 구현
- BFS
- level0
- dfs
- 힙
- 브루트포스
- 스택
- 파이썬
- 코딩테스트
- DP
Archives
- Today
- Total
동캄의 코딩도장
백준 16987 [계란으로 계란치기] 파이썬 본문
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6987
# 백준 16987 계란으로 계란치기
N=int(input())
eggs=[]
eggs_break=[False for _ in range(N)]
ans=0
for _ in range(N): #계란 정보 저장
dur,wei=map(int,input().split())
eggs.append([dur,wei])
def strike_egg(curr,cnt): #현재 손에 쥐고 있는 계란 정보와 현재 깨진 계란 정보를 인자로 받음
global ans
ans=max(ans,cnt) #가장 많이 깨진 경우 확인
if curr==N: #가장 오른쪽 계란까지 확인했다면 더이상 탐색하지 않음
return
if not eggs_break[curr]: #만약 손에 쥐고 있는 계란이 깨지지 않았다면
for i in range(N):
if not eggs_break[i] and not (i==curr): #손에 쥐고 있는 계란도 안깨지고, 목표로하는 i번째 계란도 안깨졌다면
eggs[curr][0]-=eggs[i][1]
eggs[i][0]-=eggs[curr][1]
curr_break=False
i_break=False
if eggs[curr][0]<=0: #손에 쥐고 있는 계란이 이번 치기로로 깨졌다면
eggs_break[curr]=True
cnt+=1
curr_break=True
if eggs[i][0]<=0: #목표로하는 i번째 계란이 이번 치기로로 깨졌다면
eggs_break[i]=True
cnt+=1
i_break=True
strike_egg(curr+1,cnt) #다음번 순서 계란으로 탐색
eggs[curr][0]+=eggs[i][1] #원상복구
eggs[i][0]+=eggs[curr][1] #원상복구
if curr_break: # 계란이 깨졌었다면 다시 원상 복구
eggs_break[curr]=False
cnt-=1
if i_break:
eggs_break[i]=False
cnt-=1
else:
strike_egg(curr+1,cnt) # 손에 쥐고 있는 계란이 깨졌다면 다음번 계란으로 탐색
strike_egg(0,0) #제일 왼쪽 계란부터 시작
print(ans)
GPT의 최적화 코드이다.
별반 차이 없다.
다음번에 유의할 점
1. 변수사용 배열 생성 꼭 필요한지
2. 재귀적으로 진행될때 함수에 +1,-1 추가하여 인자 전송
N = int(input())
eggs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N)] # 내구도, 무게 저장
ans = 0 # 최댓값 저장
def strike_egg(curr, cnt):
global ans
if curr == N: # 마지막 계란까지 다 확인했다면 종료
ans = max(ans, cnt)
return
# 현재 계란이 이미 깨졌다면 다음 계란으로
if eggs[curr][0] <= 0:
strike_egg(curr + 1, cnt)
return
broken = False # 현재 턴에서 계란을 깬 적 있는지 확인
for i in range(N):
if i != curr and eggs[i][0] > 0: # 자신이 아닌 깨지지 않은 계란 찾기
# 현재 계란으로 i번째 계란을 친다
eggs[curr][0] -= eggs[i][1]
eggs[i][0] -= eggs[curr][1]
new_cnt = cnt + (eggs[curr][0] <= 0) + (eggs[i][0] <= 0) # 깨진 계란 개수 갱신
strike_egg(curr + 1, new_cnt) # 다음 계란으로 이동
# 원상복구 (백트래킹)
eggs[curr][0] += eggs[i][1]
eggs[i][0] += eggs[curr][1]
broken = True
# 만약 한 번도 다른 계란을 칠 수 없었다면, 그냥 다음 계란으로 이동
if not broken:
strike_egg(curr + 1, cnt)
strike_egg(0, 0)
print(ans)
반응형
'코테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3986 [좋은 단어] 파이썬 (0) | 2025.03.06 |
---|---|
백준 11559 [puyo puyo] 파이썬 (0) | 2025.03.06 |
백준 14889 [스타트와 링크] 파이썬 (0) | 2025.03.05 |
백준 14888 [연산자 끼워넣기] 파이썬 (0) | 2025.03.05 |
백준 13335 [트럭] 파이썬 (0) | 2025.03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