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S/개발지식
REST API
동 캄
2023. 3. 12. 20:08
반응형
REST
- "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"의 약자로,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자원의 상태(정보)를 주고 받는 것을 의미
- 자원의 표현은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이름을 지정하여 구현 EX) DB의 학생 정보가 자원일 때, 'students'를 자원의 표현으로 정함
- 상태 전달은 JSON,XML 등을 이용하여 자원이 필요할 때 전달
REST 특징
-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가능 --> HTTP 메소드(POST,GET,PUT,DELETE)를 통해 CRUD (Create,Read,Update,Delete) 가능
- 네트워크 상에서 Client 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사용
REST 장/단점
장점
- HTTP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므로, 별도의 추가적인 인프라 구축이 필요없다.
- HTTP 인프라 사용으로, HTTP의 장점을 추가로 가져갈 수 있다.
- HTTP 표준 프로토콜을 따르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가능 하다.
단점
- 표준이 존재하지 않는다.
-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(GET,POST,PUT,DELETE)가 한정적이다.
API
-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(API)는 다른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규칙
RESTAPI
- REST 기반으로 API를 구현한 것이다.
- 최근에는 RESTAPI를 이용한 서비스가 매우매우매우 많다.
반응형